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
-
중국에서 전화 걸기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7_중국시장사입가이드 2011. 2. 18. 09:41
중국에서 전화 걸기 홍콩에서는 지하철 내부에 전화기도 많고 동전도 사용이 가능해서 국제전화를 거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중국의 전화기 내부에는 영어로 된 상세 설명이 없어서 전화를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당장 광저우에 도착을 했는데 전화 거는 방법을 몰라 공중전화 앞에서 한참을 헤맸던 적이 있다. 손짓 발짓을 동원해서 전화를 사용하고 싶다는 표현을 했는데 정작 내가 받은 건 공중전화 카드가 아닌 핸드폰 충전카드였다. 중국은 우리나라처럼 핸드폰을 사용 후 지불하는 후불제가 아니라 요금을 충전 후 사용 가능한 선불제인데, 처음에는 이것을 몰라서 충전카드를 고스란히 버린 적이 있다. 결국 중국인에게 설명을 듣는 것을 포기하고 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 옆에 가서 전화번호가 적힌 메모를 보여주며 전..
-
창업 준비 기간은 컨셉이 완성될 때까지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6_가난한 쇼핑몰에서 부자 쇼핑몰로 2011. 2. 15. 09:42
창업 준비 기간은 컨셉이 완성될 때까지 보통 창업을 마음먹은 사람들은 아이템을 결정하는 순간까지는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데 반해 아이템을 찾고 나서는 재빠르게 쇼핑몰을 차려버리곤 한다. 사람들이 아이템 잡는데 보통 3개월에서 6개월을 투자한다. 1년 넘게 걸리는 사람도 있다. 1년도 좋고 2년도 좋고 쇼생크를 탈출하듯이 준비를 엄청 하기도 한다. 그런데 변비에 걸린 사람처럼 끙끙대다가 아이템 선정을 끝내는 순간 모든 일을 일사천리로 진행한다. 뚝딱뚝딱 일주일만에 사이트 오픈하고 물건을 사입해서 바로 판매에 들어간다. 이처럼 아이템 선정에는 공을 들이고 선정 후 사이트 구축은 날림으로 하는데 이것이 바로 망하는 지름길이다. 아이템을 결정했다는 것은 창업의 시작이라기보다는 창업 준비의 시작이라 봐야 한..
-
물품 수입에 관해서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7_중국시장사입가이드 2011. 2. 11. 09:55
물품 수입에 관해서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무역이라는 것에 대해 너무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너무 모르는 부분이라고 미리 겁 먹을 필요는 없다. 무역이라는 것은 우리가 국내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것과 같은 것이다. 단지 물건을 사야 할 대상이 외국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그에 따른 서류나 세금 등이 좀더 필요하고 그에 관련 된 법안들이 있을 뿐이다. 국내에서 거래를 한다 하더라도 세금을 내야 하고, 택배나 화물 같은 운송 수단도 갖춰야 한다. 세금은 세무서가 아닌 세관에, 운송은 택배나 화물이 아닌 물류회사에 위탁한다는 것이 다름 점일 뿐이다. 너무 어렵게 생각도 하지 말고 그렇다고 너무 쉽게 생각해서도 안 되는 것이 무역이라고 하겠다. 이번 장에서는 무역을 함에 따라 부가적으..
-
중국 시장에서 사입하는 방법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7_중국시장사입가이드 2011. 2. 9. 10:04
중국 시장에서 사입하는 방법 중국 사입의 몇 가지 방법 ① 인터넷 검색을 통해 중국의류 원도매상에서 공급받는 방법 중국 도매상인들도 최근 국제적으로 변한 시장의 면모에 걸맞게 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업체들이 많다. 영어나 중국어로 되어 있는데 ‘구글’ www.google.com/intl/zh-CN이나 중국포털사이트 ‘바이두’ www.baidu.com 등에서 찾아보는 방법이 있다. 중국어를 잘 아는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영어가 능숙하다면 영어로 직접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우 차이나 커뮤니티 시티’ www.onccc.com/?gclid=CJTcgfW-7ZICFQk3TQodjQ0DwA에 들어가면 각종 이우상가들의 연락처와 주소를 알 수가 있다. 그들과 직접 교섭을 통해서 원도매상들에게 공급을 받을 수..
-
중국 시장조사 때 봐야 할 포인트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7_중국시장사입가이드 2011. 2. 7. 10:28
중국 시장조사 때 봐야 할 포인트 중국으로 사입을 하러 가기 전에 늘 물건을 파는 상인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물건을 사는 소비자의 입장으로 보겠다고 생각한다. 내가 입고 싶은 옷을 내가 판매하자는 것이 나의 생각이었다. 사입을 하러 가서 어떤 물건이 질은 나쁘지만 사진은 괜찮게 나올 것 같고 가격도 저렴하다면 구매하고 싶은 마음이 들 것이다. 인터넷 쇼핑몰은 상품을 직접 보고 사는 것이 아닌 만큼 처음에는 판매가 잘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소비자의 신뢰도는 떨어지고, 결국 재고가 남아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니 늘 소비자의 입장에서 물건을 사입하도록 한다. 소비자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진으로만 보고 상품을 골랐지만 실제로 받아 봤을 때는 제품의 원단까지 좋아서 만족할 만한 상품을 고르도록 해야 한다. 최소 주문..
-
쇼핑몰 운영자에게 중국 시장의 매력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7_중국시장사입가이드 2011. 2. 7. 10:14
쇼핑몰 운영자에게 중국 시장의 매력은? 경제성장에 따라 중국의 물가 수준도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한국보다 모든 면에서 가격이 저렴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동대문시장의 많은 도매 매장들이 중국으로 공장을 옮기거나 중국 도매 시장 물건을 구매해서 판매하고 있는 추세다. 중국의 도매 시장에는 한국 상가들이 제법 있는데 앞으로도 점점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터넷 쇼핑몰의 발달로 가격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경쟁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 더 많은 도매 시장이 중국 물건을 구매할 것이라 전망되고, 중국 도매 시장으로 진출하는 한국 도매상인들도 점점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도매상들에 비해 소량의 물건을 취급하는 쇼핑몰들은 아직까지 동대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는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들 대부분이 ..
-
중국의 대표적인 시장과 그 특징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7_중국시장사입가이드 2011. 2. 1. 09:26
중국의 대표적인 시장과 그 특징 흔히들 생각하듯 나 역시 중국 도매 시장이라고 할 때 문득 떠오른 것은 우리나라 60~70년대의 재래시장이었다. 동대문이나 남대문 재래시장과 비슷할 것이라고만 생각했다가 직접 눈으로 중국 시장을 보고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도시 하나뿐만이 아니라 그 주변 지역까지 흡수하여 성 자체가 하나의 시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규모가 크다. 중국은 워낙 넓은 땅덩어리라 각각의 도시 하나만도 서울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데 그 주변의 작은 도시들조차도 시장과 공장 등이 들어서 있어서 거대한 시장이 하나의 나라처럼 생각되었다. 빼곡히 들어선 빌딩이 도시를 덮고 있는데, 그 도시 전체가 시장이라니……. 남루한 재래시장이 아니라 신식 건물들이 들어서 있는 그곳이 바로 중국 시..
-
상표권 침해에 걸려 넘어지다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22_서랍장속의주얼리가게 2011. 1. 28. 09:04
상표권 침해에 걸려 넘어지다 의류나 기타 다른 잡화류들도 그렇긴 하지만 액세서리의 경우는 정말 이미테이션들이 많다. 샤넬이나 디올, 티파니, 까르띠에처럼 유명브랜드들은 물론이거니와 때로는 나도 알 수 없는 디자이너 브랜드들의 제품까지 참으로 많은 카피와 아류들이 지금도 계속 만들어지고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대부분의 판매자들은 불법인 줄 알고는 있지만 찾는 사람들도 많고 마진도 좋기 때문에 이미테이션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갖다 파는 경우가 많다. 처음엔 도매 거래처에서 모르고 가져왔다가 나중에 가격대 알아보려 여기저기 사이트 뒤적이다가 우연히 브랜드를 알게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사실 브랜드 로고가 디자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이상 디자인만 보고는 어디 브랜드인지 한눈에 알 수는 없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