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마케팅
-
단독 개원? 네트워크 병원으로 개원? - 나에게 맞는 개원 알아보기창업&마케팅/병원개원마케팅 2024. 2. 15. 11:02
본 내용은 《병원 개원 마케팅 이기는 전략》. 심진보 著에서 가져왔습니다. 단독 개원? 네트워크 병원으로 개원? 저는 여러 개별 병원과 네트워크 병원의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병원은 주로 피부과, 치과, 한의원,가정의학과, 정신과 등의 필드에 있습니다. 네트워크 개원과 단독 개원의 장단점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병원 중에서도 지점을 100% 컨트롤하고 브랜딩을 중앙에서 컨트롤하며 로열티를 가져가는 방식과, 로열티가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각 지점이 권한을 많이 갖는 방식이 있어서 장단점이 다릅니다. 아래 표에 단독 개원과 네트워크 개원의 차이를 개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외식업 창업과 비교해본다면 상당히 이해가 쉽습니다. 이 책을 읽고 계신 개원준비의 여러분께서 여러분의 지역에 식당을, 이..
-
마케팅 관점에서 본 병원 입지의 특성과 마케팅 전략 - 의료특구, 경쟁입지, 로컬입지창업&마케팅/병원개원마케팅 2024. 1. 25. 11:13
본 내용은 《병원 개원 마케팅 이기는 전략》. 심진보 著에서 가져왔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이 보는 관점과 다를 수 있 습니다만, 마케팅 관점에서 입지를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본 도서의 서술에서 3차 의료기관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1. 의료특구 정부나 지자체가 정의하는 의료나 의료관광 특구가 아니라, 필자가 마케팅 관점으로 보는 초경쟁지역으로 병의원이 밀집되어 있기에 의료특구라고 생각하는 지역입니다. 강남, 서초, 압구정, 신사, 청담,해운대, 대구 동성로, 선릉, 삼성, 교대 등과 같은 입지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비급여 중심의 진료과의 경우, 병원의 입지나 환자의 거주지역과 무관한 매출 패턴이 나타납니다. 전국 어디에 서 신환이 와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해외환자나 국..
-
병원의 공식 블로그(오피셜 블로그)는 운영을 해야 할까요?창업&마케팅/병원개원마케팅 2021. 12. 30. 17:20
병원의 공식 블로그, 흔히 말하는 오피셜 블로그는 꼭 필요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렇다’입니다. 그런데 많은 경우에 병원의 공식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망설이는 병원들이 많습니다. 왜일까요? 공식 블로그는 성장을 시켜서 실제 병원 홈페이지로 유입시킬 정도의 시간이 될 때까지는 큰 노력과 끈기가 필요합니다. 그렇게 하여, 결국 일방문자가 500명, 1천 명이 되어 지속적인 유입이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병원의 블로그들은 민감한 키워드로 구성된 경우가 많으므로, 소위 말하는 저품질의 문제로 하루아침에 병원의 공식 블로그가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병원이 공식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고, 소위 임대 블로그라고 하는 남의 소유의 블로그를 빌려서 블..
-
환자가 만족하는 마케팅을 할 것인가, 원장을 만족시키는 마케팅을 할 것인가 (ft. 병원마케팅의 딜레마)창업&마케팅/병원개원마케팅 2021. 12. 27. 14:43
‘환자가 만족하는 마케팅 vs. 원장을 만족시키는 마케팅’. 이 주제는 병원 마케팅을 진행하는 디지털 마케팅 대행사가 가장 많이 하는 고민 중의 하나입니다. 일반 개원가의 경우, 조직 구성이 원장의 개인 의사결정에 의하여 대부분 결정됩니 다. 마케팅과 관련된 조직 구성은 병원이 어느 정도 규모로 성장할때까지 대부분 원장과 마케팅 담당 직원 몇 명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조직이 마케팅 집행에서 객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객관성이란, 광고매체 선택의 객관성을 의미합니다. 병원과 광고대행사가 마케팅 대행계약을 하고, 필자가 처음으로 병원의 마케팅 상황을 점검해 보면, 이전의 광고 대행사나 광고 담당 원내 직원이 잠재고객, 즉 가망 신환이 아닌 원장을 만족시키는 마케팅을 해..
-
병원 브랜드 키워드와 일반 키워드 마케팅창업&마케팅/병원개원마케팅 2021. 12. 23. 14:36
병원 마케팅에서 가장 비싼 광고 도구는 무엇일까요? 모두가 알겠지만 뭐니 뭐니 해도 네이버 키워드 광고일 것입니다. 특정 비급여 중심의 병원에서 수술 및 시술과 관련된 메인 키워드를 365일 매일 1위 순위에 노출할 수 있을 만큼 광고예산이 넉넉한 병원은 드뭅니다. 그렇게 광고예산을 쓴다면 아마도 강남권이라면 월간 1억 원의 키워드 광고예산을 지출하여도 충분 하지 않을 것입니다. 대부분 병원은 마케팅 예산을 좀 쓴다고 하여도, 24시간 상위 순위 네이버 키워드 광고 입찰을 하지 못하고, 시간, 요일, 지역, PC와 모바일 전략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자가 이 글을 쓰는 현재 안과와 관련한 키워드에서 ‘라식’의 연관 키워드 중에 비싼 키워드의 클릭당 단가는 2만 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
병원의 브랜드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창업&마케팅/병원개원마케팅 2021. 12. 22. 15:10
브랜드의 가치가 실제 병원 매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실제 병원 마케팅에서 브랜드의 영향이 있다, 없다, 많다, 적다 등 여러 논란이 있지만, 브랜드의 영향이 상당히 많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소위 말하는 간판 값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서 필자가 겪은 사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필자는 과거에 브랜드가 병원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네트워크 병원을 통해 실제로 검증해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네트워크 병원이 항상 평화로운 적은 별로 없습니다. 항상 네트워크 본부와 본점 사이에 여러 가지 마찰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 30여 개로 구성된 모 대형 네트워크 병원에서 의대 동기 원장 다섯 명이 기존의 네트워크를 이탈하여 새로운 브랜드로, 기존에 없었던 신규 브랜드로, 재개원을 하게 되었습..
-
임금명세서 교부 고용노동부 예시 사례 해설, 통상임금 계산법창업&마케팅/사장님, 이거 노동법 위반 아닌가요? 2021. 12. 1. 18:22
11월부터 임금명세서를 노동자에게 교부하도록 법이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계도기간이고 홍보도 제대로 안되서 실무 현장에서 혼란이 많습니다. 고용노동부 블로그의 글. 11월 19일부터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주어야 합니다. https://blog.naver.com/molab_suda/222563786812 11월 19일부터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주어야 합니다. 2021년 11월 19일부터 사용자는 임금명세서를 교부해야 합니다. ■ ‘임금명세서 만들기’ 컴퓨터‧모바일 ... blog.naver.com 저도 임금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많아서 예시 사례를 읽어보았습니다. 그런데 왠걸? 읽고도 해석이 안되는 것이었습니다. 연장근로수당이 왜 시간당 15822원이지? 기본급에 209시간으로 나..
-
휴일의 종류_사장님, 이거 노동법 위반 아닌가요?창업&마케팅/사장님, 이거 노동법 위반 아닌가요? 2021. 7. 16. 15:12
오늘은 휴일休日에 관해 쓰려고 해. 사용자와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체결하면 각자에게 중요한 법적 의무가 생겨.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생기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그 대가로 임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생기지. 그런데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면제될 때가 있어. 그게 바로 쉼이야. 휴休가 들어가는 개념들인 거지. 휴일은 내가 사용자에게 청구할 필요가 없이 그냥 쉬는 날이야. 회사에 들어온 날부터 원래 쉬는 것으로 정해 놓은 날이지. 근로를 제공해야 할 의무도 원래부터 없기 때문에 그날은 자연스럽게 쉬는 거란다. 내가 휴일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휴일이 나를 찾아오는 거지. 가끔 교육에 참석한 근로자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 볼 때가 있어. “여러분, 휴일은 원래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