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
-
(30회) 장부! 장부! 장부! (2)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22. 08:30
이제 장부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하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장부의 종류는 어떠하며 인터넷 쇼핑몰을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장부의 기준이 무엇일까? 장부는 업종별로 천차만별이다. 비디오 가게에서 사용하는 장부, 대형마트에서 사용하는 장부, 의류 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부, 화장품 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부 등 이 모든 장부들이 다 다르다. 각 업종의 유통 구조마다 특화하기 때문에 각 업종별로 서로 다른 장부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도매상들이 아니라 쇼핑몰, 즉 소매상들에게 필요한 장부는 어떤 것이 좋을까? 먼저 쇼핑몰은 소매의 특성상 매입보다는 매출이 많다. 짧은 시간에 타이핑으로 매출처 등록이 쉬워야 한다. 몇몇 장부들은 거래처 등록 메뉴가 따로 있고, 매출 상품 등록 메뉴가 따로 있다. 그렇게 되면..
-
(29회) 장부! 장부! 장부! (1)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21. 08:30
장사를 함에 있어 장부, 즉 장부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지만 실제 쇼핑몰을 하면서, 특히나 소호몰을 하는 분들이라면 이 장부에 대해서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나도 전에 웹팀의 팀장으로 있을 때 매출이나 광고에만 비중을 두고 유통이나 장사의 실무를 전혀 몰랐다. 그래서 쇼핑몰을 시작할 때 장부라는 것을 막연하게 그저 매출과 매입을 기록하는 도구로만 생각하였다. 그저 하나를 매입해서 하나를 팔면 생기는 마진이 장사의 이익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런데 그렇게 장사를 할수록 점점 큰 의문점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왜 계속 돈에 허덕이는 것인지, 자금을 회사로 계속 들여와도 왜 자금은 항상 부족한 것인지,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그때는 아무리 생각해도 잘못된 점을..
-
(28회) 쇼핑몰의 상품 재고들에 대해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20. 08:30
‘원피스 재고가 1천장 있는데 이거를 어떻게 처리하는 게 좋을까요?’ ‘판매 단가를 맞추기 위해서 OEM으로 옷을 제작하였는데, 나가는 수량에 비해 재고가 너무 많아 걱정입니다.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누가 처분한다고 하여 쇼핑몰과 재고를 샀는데, 막상 있는 재고는 나가질 않고 있습니다.’ ‘기존 재고가 팔리지를 않아 돈이 없어 신상품 매입을 하지 못하고 있어요.’ 내가 활동하는 카페 회원들에게 곧잘 듣는 질문들이다. 이런 식으로 재고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는 것을 알았다. 애리조나의 비행기무덤. 재고를 관리하는것도 비용이 많이 든다 쇼핑몰은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장사이다. 도매업자가 아닌 것이다. 왜 무리를 하여 도매업자들보다 더 많은 재고들을 매입하여 걱정하는가? 또한 도매를..
-
(27회) 운영전략 - 인사, 경쟁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19. 08:30
인력 관리 다음으로 인력 관리이다. 사람이 똑같은 사람을 부리고 이끌며 일을 하는 것만큼 더 어려운 것이 있을까? 없다고 생각한다. 결혼 생활도 마찬가지지 않은가? 서로 다른 가치관과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서 평생을 함께 살아야 한다. 초반에는 이성적인 호기심, 나와는 다른 점에서 느껴지는 매력, 상대방에 대한 사랑으로 끌리지만 막상 같이 살면 그러한 긴장은 점점 사라진다. 현실 생활에 당면하게 되면서부터는 자주 싸우게 되고, 분쟁이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이 분쟁이나 다툼의 근원을 잘 생각하여 보면 자신의 이기적인 욕심 때문이다. 내 와이프가 냉장고 정리를 좀더 잘 해 주었으면, 내 남편이 화장실 세면대에 머리카락 좀 안 흘렸으면 하는 식의 내 기준에 맞춘 욕심들이 늘어나게 되면서 분쟁이 생기고 다..
-
(26회) 운영전략 - 가격, 고객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18. 08:30
가격 책정 쇼핑몰에서 세일즈만 잘한다 하여 제품이 잘 팔리는 것은 아니다. 오프라인에서 세일즈는 실제 사람을 만나 상품을 설명하고 구매를 유도하여 빠르게는 그 자리에서 상품 대금까지 받는다. 하지만 온라인 세일즈는 그러한 오프라인의 구조와 약간은 차이가 있다. 온라인 세일즈라 해 봐야 인터넷 홍보를 통한 판촉 활동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를 전문적으로 잘한다 하여도 실제 소비자가 자신의 쇼핑몰에서 상품을 보고 장바구니에 담아 카드번호를 넣어 결제를 하거나 계좌이체를 하여 구매를 하는 것과는 다르다. 즉 구매율을 높여야 한다. 그 구매율을 결정하는 것이 가격이다. 기업 경영에서도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저가 판매 정책을 기본으로 하기도 한다. 고가 판매로 인한 고마진은 장사꾼이면 누구나 ..
-
(25회) 성수기, 비수기 (잘 될 때 준비하고, 안 될 때 소비하라)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15. 08:30
내가 쇼핑몰을 운영해 보면서 크게 느낀 점이 있다. 역시 쇼핑몰은 장사이기에 성수기와 비성수기가 있다는 점이다. 잘 될 때 돈을 비축한다 생각하고 모아 놓으라. 향후 비수기에 그 모은 돈이 절실히 필요하게 될 것이다. 1년여를 운영해 보며 월간 매출 추이의 집계를 내본다면 대략 성수기가 몇 월부터 몇 월까지인지, 비성수기가 몇 월부터 몇 월까지인지를 알 수 있다. 여행 상품을 제외한 대부분 상품의 경우, 평균적인 시장의 성수기는 11월~3월, 6∼7월 정도일 것이다. 나머지는 비수기가 될 것이다. 대부분 여행 시즌(신혼여행 포함)에는 여행 위주의 가계 지출이 크기 때문에 쇼핑은 자제를 한다. 그렇기에 성수기에 가급적 많은 매출을 내서 비수기를 대비한 자금을 확보해야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된다. 나와..
-
(24회) 오프라인 광고 vs 온라인 광고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14. 08:30
우리는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장사꾼들이다. 쇼핑몰은 인터넷 공간이라는 안의 작은 상점이다. 인터넷의 특성은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온라인 광고는 그 타깃들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찾아 방문하는 사람들이기에 다소 충성도는 낮을 수 있다. 그만큼 싼 가격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내 관리력에 따라 그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초반에 가격이 싸든가, 아니면 상품의 디자인이 예쁘든가 등의 이유로 방문하여 구매한 사람들에게 그 사람들이 원하는 디자인이나 단가의 상품을 계속 공급해 주면 내 쇼핑몰에서 다시 구매를 하게 된다. 쇼핑몰의 성장에 필요한 것이 곧 관리력이다. 오프라인 장사와 똑같다고 보면 된다. 장사도 마찬가지지 않은가, 놀면 돈이 벌리지 않..
-
(23회) 광고, 집행하면 끝이 아니다, 집행과 동시에 시작이다매출두배내쇼핑몰시리즈/13_쇼핑몰은장사수완이다 2009. 5. 13. 08:30
대부분 광고를 진행하고 나서는 매출만 처리하면 된다는 생각을 한다. 이것은 그저 나무를 심어만 놓고 알아서 자라주기를 바라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나무를 심기만 한다고 알아서 자랄까? 물도 주고, 거름도 주고, 병해충에 죽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돌봐줘야 한다. 나무를 심는 것은 땅을 파고 묘목을 넣어 뿌리를 흙으로 덮어주기만 하면 된다. 이것은 그 다음 과정들에 비하면 아주 쉽다. 광고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잘 자라날 묘목을 고르듯 광고사를 고르고 나무를 심듯이 광고를 실행한 다음부터는 그 광고가 잘 자라날지, 큰 열매를 맺어줄지를 확인하고 검증해야 한다. 모든 광고를 천편일률적인 잣대로 집행하고 관리해서는 안 된다. 묘목을 선택하는 데에도 방법이 있듯 자신의 상품과 맞는 광고사를 선택하는 데도..